유럽에서는 가장 탁월한 항암 치료약으로 인정되고 있는 머위는 암 환자들의 통증을 완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머위는 최고의 암 치료 약인 동시에 최고의 염증 치료 약이라 하여 최근에는 농촌의 효자 식품으로도 등장하고 있다.
머위
과거 시골집 뒤뜰의 약간 습하고 낙엽이 많이 떨어진 자리에는 이른 봄 이파리도 나기 전에 조그만 꽃들이 동글동글 뭉친 하얀 꽃봉오리가 빼곡히 얼굴을 내민다. 꽃들이 팡팡 터지고 나면 잎들은 드디어 둥글둥글 치맛자락을 펼친다. 이게 바로 머위이다. 어린 머위를 잘라서 살짝 데쳐서 쌈을 싸 먹거나 나물을 해 먹었다. 농촌에서는 길게 자란 잎자루를 데쳐 나물로 먹는데, 독특한 향기가 있어 좋고 아주 쓴맛이 난다. 머위가 많이 자라면 잎은 대부분 버리고 줄기는 껍질을 까서 들깻가루와 함께 맛있는 볶음을 해 먹었다.
겨우내 김치와 저장된 무와 시래기, 말려 두었던 나물만을 먹다가 싱싱한 머위 잎이 등장하면 추위로 활동이 적어 겨울 동안 쌓였던 일반 독소들이 날아가는 것만 같았다. 겨울 추위로 활동은 적게 하고 또 많이 먹은 탓에 몸속에 자리를 잡으려던 각종 염증과 암세포들도 꼼짝 못하게 하는 창조주의 뜻이 담긴 강력한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머위의 특성과 효능
머위는 “비옥한 곳에서 자라는 것은 잎자루가 길게 자라지만, 건조하고 메마른 곳에서 자라는 것은 잎자루도 짧고 잎도 작다. 초롱꽃목 국화과의 쌍떡잎식물이다. 머우, 머구, 머윗대로 불리는 머위는 한국을 비롯한 북반구 온대와 아한대 지역에 분포한다. 주로 습지에서 자라는 풀이다. 높이 약 30센티미터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길게 뻗는다. 뿌리줄기는 짧아 땅 위에 나오지 않고 옆으로 뻗어 끝에서 잎이 나온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콩팥 모양이고, 치아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약 60센티미터로 담녹색으로 굵으며 밑 부분은 담적자색을 띤다. 뿌리는 구어혈·해독·소종의 효능이 있어 약용으로 쓰인다.
약성은 냉하고 쓰며, 인후염·기관지염·암종과 뱀 물린 데 등에 쓰인다.”라고 위키 백과사전은 말한다. 칼슘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인 머위는 영양 면보다는 향채로 많이 먹어 왔는데 전국의 각지에서 쉽게 자생하거나 재배할 정도로 아무 데서나 잘 자라는 식물이다.
서훈석 외 2인은 “머위의 뿌리, 줄기, 잎을 사용하여 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고, 추출물을 분획 정제하여 암세포 생장 억제성을 실험하였다. 항산화 효소가 머위를 에탄올로 추출한 모두에서 96.7퍼센트가 나올 정도로 항산화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그뿐 아니라 우리 몸의 활성 산소를 해가 없는 물질로 바꿔 주는 총 폴리페놀 함량이 223mg/g이나 나왔다. 시료별로 전자 공여 능력, 즉 전자를 주어서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머위 뿌리에서 61.5퍼센트, 머위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34.9퍼센트로 높은 전자 공여 능력을 나타냈다. 암세포 생존 억제성의 실험에서 머위 추출물의 분획물들은 정상 세포 DC2.4의 생육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위암 세포주 SNU-719의 생육은 41.9퍼센트로 크게 억제시켰고, 간암 세포주 Hep3B의 생육은 72.7퍼센트 억제시켰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실제로 민간에서 머위는 가래를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하며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며 종기를 삭이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몸속에 쌓인 독을 풀어 주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알레르기를 없애고 뛰어난 항산화 활성이 있으며 혈관을 튼튼하게 하고 혈압과 콜레스테롤을 낮추며 간 기능을 좋게 하고 혈액을 맑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뿐 아니라 자궁염, 요도염, 방광염, 전립선염, 위염, 장염 등과 같은 온갖 종류의 염증과 자궁암이나 난소암, 방광암, 위암, 폐암, 간암 등 온갖 암에 걸렸을 때 머위 나물을 매일 먹거나 말린 가루를 먹으면 천연 항암제를 먹는 것으로 많이 애용되어 왔다.
농촌의 효자 식품
유럽에서는 가장 탁월한 항암 치료약으로 인정되고 있는 머위는 암 환자들의 통증을 완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머위는 최고의 암 치료 약인 동시에 최고의 염증 치료 약이라 하여 최근에는 농촌의 효자 식품으로도 등장하고 있다.
머위는 주로 음지나 습지에서 연약한 잎과 줄기 밑에 사방으로 뻗어진 강인한 뿌리를 가지는데 이른 봄에 먹을 것도 많지 않던 가난한 우리의 조상들이 몸이 아파도 병원에 갈 수도 없던 열악한 환경에서 머위를 감사하게 먹고 창조주의 위대하신 생명력을 전수받으라고 값진 선물로 주신 주님의 치료제라 생각하니 놀랍기만 하다. 하나님께서는 건강에 좋은 여러 종류의 식물을 어느 곳에나 풍부하게 주셨다. 올봄에는 햇살을 머금고 창조주의 에너지가 듬뿍 담긴 초록빛 둥근 머위 잎,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이신 머위 잎을 구할 수 있는 대로 구해 다른 햇채소들과 함께 한입에 넣고 꼭꼭 씹어 보자. 그러면 인간이 전혀 개발하지 못하는 초유의 치유제가 혀 사이에 녹아들어 망가진 몸의 구석구석을 수리해 줄 것이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혼돈하고 어두움 가득 찬 땅에 빛을 창조하신 우리의 하나님께서는 오늘도 악인과 의인에게 똑같이 이 생명의 빛을 비추시어 하나님의 빛의 광선이 함께하도록 이 작은 머위 잎 한 줄기에도 기록하여 놓으심이 너무 감사하기만 하다.
출처 : 건강과 가정 시조사 월간잡지
저자 : 송황순
이학박사
저서 <생애주기별 건강가이드>(공저) <라이프 스타일을 바꾸면 건강이 보인다>(공저)
겨자 이야기
겨자찜질은 자극이 강하기 때문에 통증을 덜어 주며 몸의 깊은 곳에 굳어진 혈관을 이완시키고 염증을 없애는 데 효과가 크다. 폐렴이나 기침, 늑막염, 폐결핵, 천식, 기관지염, 감기, 협심증, 심
real.lifeguruhub.com
옷 이야기
허리를 너무 조이는 옷은 혈액 순환을 방해하고 내부 기관을 압박하여 위장을 약화시키고 폐의 호흡을 어렵게 한다. 또 산소의 양이 감소하고 폐를 통하여 배설되어야 할 찌꺼기와 독소들이 그
real.lifeguruhub.com
'가정과 건강 > Health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수 이야기 1 (0) | 2023.08.09 |
---|---|
옷 이야기 (0) | 2023.08.09 |
금연, 그 감정과 의지의 싸움에서승리하는 법 (0) | 2023.08.09 |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이야기 (1) | 2023.08.09 |
두뇌 건강 및 두뇌 피트니스 2 (0) | 2023.08.08 |